직접 빌드한 Hadoop위에서 Hive를 실행할 때
자주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였다. 이는 메모리 부족으로 인한 에러라고 한다.
해당 에러를 해결하는 방법은 아래의 코드를 입력해주는 것이다.
hive> set hive.exec.mode.local.auto=true;
코드 자체는 hive를 로컬모드로 실행하겠다는 것을 의미하며, 이것이 메모리 부족과 무슨 상관인지는 추후에 자세하게 알아보자.
로컬 모드로 변경한 이후, 문제없이 코드가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.
추가로, hive 명령어가 MapReduce 과정을 거쳐 결과물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'Big Data > Hiv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lter Table (0) | 2022.10.26 |
---|---|
Partition (2) (0) | 2022.10.25 |
partition (1) (0) | 2022.10.25 |